목록사람이 먼저다 (73)
蘭室에서1515
지금은 교회에 다니질 않지만 저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렸을때부터 기독교신자 였읍니다 어려서는 <믿음,소망,사랑>으로 요약돠는 성경속 예수의 가르침을 듣고 자랐는데 세월이 지나 어른이 되어가면서 "교리나 십계명의 가르침과는 다른 생각과 행동을 하면서 죽어 천당에 가기..
어제 방송뉴스에서 치어리더에 대한 팬들의 성희롱에대한 이야기가 나오더군요 프로 야구단을 지향하며 1975년 5월 6일 서울에서 창단되었던 롯데 자이언츠 야구단 실업야구연맹에 10번째로 가입한 구단이었던 롯데자이언츠는 세미프로팀으로 롯데엔젤스라는 응원단을 가지고 있었는데 ..
전두환 ‘5공전사'로 다시 보는 12·12 사태1979년 12월 12일은 전두환 신군부가 권력을 찬탈한 날입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전 대통령이 사망한 뒤 정승화 참모총장이 계엄사령관에 취임하면서 수도권 지역의 주요 군 지휘관을 교체하는 등 내부 개혁을 진행했습니다. 그러자 전두환 합..
국민 교육 헌장은 박정희 정부 때 발표된 것으로 대한민국 교육의 이념, 목적, 철학, 방향 설정을 위해 제정되고 선포되었다.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한 박정희는 확보한 안보 의식과 투철한 국가관을 확립하기 위해 대학에서부터 군사 교육을 확대시켰다. 더 나아가 국민 모두가 반공정신을 갖추고 국가에 충성할 수 있도록 1968년 국민 교육 헌장을 제정하였다. 국민 교육 헌장은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고 전통과 진보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며, 개인과 국가의 일체감 을 통해 민주 복지 국가를 건설한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다. 국민 교육 헌장은 집단주의적 성격을 가진다는 비판 을 받기도 했는데 1978년 국민 교육 헌장을 비판한 ‘우리의 교육 지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으로 대학..
군사 훈련장과 똑같은 한국의 학교 "연병장, 사열대, 막사. 병영은 이렇게 이루어져 있다."(32쪽) 막사는 군인이 주둔하는 건물이고, 사열대는 부대를 이끄는 이가 서는 높은 단이며, 연병장은 훈련을 위해 마련한 운동장이다. 저자는 "간판만 바꿔 달면 병영은 학교가 된다."(32쪽)고 지적한..
1979년 오늘(8월 11일)은 사주의 ‘먹튀’에 항의하며 신민당사 안에서 농성을 하던 와이에이치(YH)무역 여성노동자들이 경찰에 의해 강제해산돠는 과정에서 김경숙씨가 추락하여 목숨을 잃었고, 이를 계기로 당시 신민당 총재였던 김영삼씨의 의원직 제명과 박정희 정권의 몰락이 이어졌읍니다 와이에이치(YH)무역 여성노동자들의 신민당사 농성사건 1979년 8월 9일 서울의 YH무역 여성근로자 170여 명이 회사운영 정상화와 근로자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며 신민당 당사에서 농성을 벌였다. 1970년대 초 수출순위 15위로 국내 최대의 가발수출업체였던 YH무역은 1970년대 중반부터 수출둔화와 업주의 자금유용, 무리한 기업확장 등으로 심각한 경영난에 빠져든데다 1975년 노동조합이 설립되어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I4i8/btrSKRJn21S/n2JXFKtrEak6EqHx5kr1Vk/img.jpg)
국보위, 신원기록 일제정리와 연좌제 폐지 결정 1980년 8월 1일, 헌법 제13조 3항에 “모든 국민은 자기의 행위가 아닌 친족의 행위로 인하여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아니한다”는 규정이 있다. 이른바 연좌제(連坐制) 금지를 규정한 대목이다. ‘연좌제’란 범죄인과 특정한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 연대책임을 지게하고 처벌하는 제도를 말한다. 한국에서 연좌제가 폐지된 것은 1894년의 갑오개혁 때였다. 그 해의 6월 칙령(勅令)으로 ‘범인 이외에 연좌시키는 법은 일절 시행하지 마라 (罪人自己外緣坐之律一切勿施事).’며 연좌제를 폐지했다. 이로써 역적도 삼족을 멸할 수 없게 되었고, 교분이 있었다 하여 연대책임을 지는 일은 과거지사로 돌릴 수 있게 됐다. 이 연좌제가 부활한 것은 다름아닌 한국 전쟁 때였다. 전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