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室에서1515

‘노인’ 넘쳐나는데 ‘어른’ 찾아보기 힘든 사회라니… 본문

이웃 이야기

‘노인’ 넘쳐나는데 ‘어른’ 찾아보기 힘든 사회라니…

매루 2019. 1. 26. 20:49







저희부부의 영흥섬생활이 즐겁고 보람됨을 느끼는 여러가지 까닭들 중에는

좋은이웃들과의 어울림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 합니다

비록 서로 알게되고 사귄지는 얼마되지 않았지만

남들이 보기에는 저희부부와 저희 이웃들의 사이가 매우 오래된 사이로 보이고

심지어는 친형제나 친척사이로 여겨질 정도로 서로간에 관심과 애정이 넘쳐나니

그저 고맙고 행복할 뿐 입니다


요즈음 굴이 한창입니다

조류의 흐름이 세고 간만의 차이가 심한 영흥섬의 굴이

타지역의 굴보다 맛이나 품질이 좋아 공급과 수요의 균형이 깨진지 이미 오래 되었지만

저희부부의 청(굴 구매) 이라면 어떻게해서라도 채워 주시는 안순만 어르신부부는

저희부부의 영흥섬생활중 가장 오래되고 가까운 이웃 입니다




안순만 어르신 께서는 굴을 주우러 가실때면

다른사람들보다 조금이라도 더 육지에서 먼곳으로 들어가시는 수고를 아끼지 않으십니다

그래야만 품질이 좋고 건강한 굴을 주울수 있다는 고지식하신 분 입니다


아주머니(안순만 어르신의 부인)의 굴까는 솜씨는 장인수준 이어서

아주머니께서 까신굴에는 터지거나 굴껍데기가 섞이지 않아서

안순만 어르신부부표 굴은 없어서 못파는 현실 입니다


 


20여년의 수협 근무를 마친후 농사와 바닷일을 병행 하고 계시는 안순만 어르신

늘 작업복 차림에 햇볕에 검게 그을린 외모 이지만 수십억대의 재산가 이십니다





늘 겸손 하시면서도 불의를 보면 노하기를 주저하지 않으시는 의로운 분 이십니다




안순만 어르신은 한국전쟁때 황해도 해주에서 피난을 내려오신 실향민 이시기에

황해도 출신 부모님의 자식인 저를 늘 아끼고 보살펴 주시는 삼촌이나 친형 같으신 분 이십니다


    
언제 뵈어도 남매처럼 다정한 안순만 어르신 부부 입니다





‘노인’ 넘쳐나는데 ‘어른’ 찾아보기 힘든 사회라니…

  • 교수신문
  • 승인 2017.01.09 14:19


어리다는 말의 어원은 『용비어천가』(1447년)에서 ‘어리다(愚)’로 등장한다고 한다.

중세국어에서 ‘어리다’의 의미는 이처럼 ‘어리석다(愚)’였다가 ‘나이가 적다(幼)’로 변화하면서

17세기부터는 ‘어린이’란 말도 생겨난 것이라 한다.

 ‘어린 소견’이라는 표현에서 보듯, 현대어에서도 여전히 ‘생각이 모자라거나 경험이 적거나 수준이 낮다’는 뜻으로도 쓰이고 있다.

우리가 어렸을 때는, 옛날에는, 뭔가 잘못을 하면 철이 없다고 속이 없다고 핀잔을 들었다.

 반대로 듬직하고 조신하다는 말은 칭찬이었기 때문에, 어른스럽다는 말이 오히려 좋은 말이었다.

그러던 것이 변화가 생겼다.

박완서의 『도시의 흉년』(1979)에 이르면

‘젊은 여자끼리 몇 살쯤 어리다는 게 우월감이 될지언정 열등감이 되는 일은 드문 일이었다.’고 당시의 세태가 표현되었다.

어리다는 것이 여자의 우월감이 된 것이다.

그때까지만 해도 물론 젊은 여자들에 한한 이야기였고, 어른은 어른스러운 것이 당연했다.

그것이 언제부턴가 봇물이 터지듯 경계가 무너졌고, 지금은 지나가는 사람을 보고서는 도통 나이를 짐작도 못한다. 

딸을 데리고 다니는 어머니가 이모 같다느니, 심하면 언니 같다느니, 그런 소리를 들어야 직성이 풀리게끔

‘어려보이는’ 것이 최고의 가치가 되었다.

 남자들도 예외가 아닌 것이, 아저씨보다는 오빠로 불리기를 좋아한다던가? 어리(석)게도!



나이가 먹고 어른이 된다는 것은?


나이 들어 예쁜 얼굴이야 있을까만, 옛날에 우리가 어려서 보았던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괜찮았다.

어려보이는 어른이 아니라 어른 같은 어른들이었다.

그것은 세월을 초월한 조화다.

지금도 기억한다.

적당히 늙고 주름진 얼굴에 적당히 센 머리에 적당히 굽은 등을 하고 널부렁한 옷을 입고 천천히 걷는 모습은 너무도 자연스러웠다.

이른 나이에 있었을 많은 어려운 순간들을 이기고, 이제 다가오는 종착역을 그리 두려워하지 않는 삶은 편안하게 보였다.

 가지고 갈 것도 남기도 갈 것도 많지 않아서 뭔가를 잃게 될 것을 두려워하지도 않는 삶이야말로 넉넉해 보였다.

내가 늙은이가 된 지금은 주변을 돌아보면, 파리하고 살짝 빛바랜듯 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노인들의 자태가 여간해선 보이지 않는다.

무성한 초록도 단풍이 들듯이, 황홀한 단풍도 우수수 바람에 날리듯이, 자연을 닮은 노인들이 그립다.

왜 지금은 내가 어렸을 때 보았던 어른스러운 어른되기가 힘들까.

 거짓과 우격다짐으로 불린 명성과 재산이 많으면 잃을까 걱정이고, 없으면 없어서 분통나고 그러는 것일까.

통계수치로 보면 옛날보다 잘들 사는데, 어른들도 젊은이들 따라서 헬조선이라고 느낀다.

그러나 새 달력을 보면서 느끼는 감회는 다르다.

이런저런 이유로 도중하차하지 않고 나이를 먹는 것은 축복이다.

 지구가 아직은 허락한 또 한 번의 봄을 맞게 되다니! ‘삼천리강산에 새봄이 왔구나. 농부는 밭을 갈고 씨를 뿌린다.’

 어려서 골목 양지바른 곳에서 고무줄 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또래들의 노랫소리가 귓가에 맴돈다.

이제 손녀들은 고무줄놀이 같은 것을 모르니 노래를 가르쳐줄 수도 없게 되었나?

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어차피 많아진다.

 다만 한 계단 더 오른 어른으로서 덜 어리(석)자고 다짐할 일이다.

서용좌 전남대 명예교수·소설가





 

이계성:작사/:작곡












'이웃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관령 고로쇠  (0) 2019.03.06
미자氏  (0) 2019.02.28
많이 아픈 애자씨  (0) 2019.01.16
새해인사를 나눈 오지석 장로님가족  (0) 2019.01.12
윤정이 부모  (0) 2018.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