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室에서1515

한반도 토종 메꽃 본문

들 꽃 이야기

한반도 토종 메꽃

매루 2012. 7. 11. 22:52

 

 

 

 

흰색 땅속줄기에서 여러 개의 덩굴로 된 줄기가 나와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며 자란다.

잎은 긴 타원형이며 어긋나고 잎밑 양쪽은 귓불처럼 조금 나와 있다.

꽃은 엷은 붉은색이고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피는데 깔때기처럼 생겼으며 꽃부리에 주름이 져 있고 꽃부리 끝만 5갈래로 갈라졌다.

봄에 땅속줄기를 캐서 굽거나 쪄 먹으며, 어린 잎은 나물로 먹지만 많이 먹으면 현기증이나 설사가 나기도 한다.

 

 

메꽃과 비슷한 식물로는 바닷가에서 흔히 자라는 갯메꽃(C. soldanella), 잎이 3각형으로 생긴 애기메꽃(C. hederacea), 큰메꽃(C. sepium) 등이 있다.

 애기메꽃과 큰메꽃의 땅속줄기도 메꽃의 경우처럼 굽거나 쪄 먹는다.

식물 전체를 말린 것을 선화(旋花)라고 하여 한방에서는 고혈압·당뇨병·이뇨 등에 쓴다.

申鉉哲 글

 

 

메꽃은 흔히 나팔꽃으로 잘못 불리어지고 있읍니다. 
우리가 흔히보는 나팔꽃은 열대 아시아 원산인 외래종이고   메꽃은 한반도 자생 꽃 입니다

메꽃은 꽃색갈이 연한 분홍색이고  나팔꽃은 보라색 계통 입니다 
메꽃의 잎은 길죽하고   나팔꽃은 심장(하트) 모양 입니다 

 

 

 

2012, 8, 8 충남 홍성 희수씨 본가앞 논뚝
 

2012, 7, 10 영흥도 용담 해수욕장

 

 

 

652

 

 

 

 

 

 

'들 꽃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매(玉梅)  (0) 2012.07.15
부처꽃  (0) 2012.07.12
군시절이 떠오르는 싸리나무  (0) 2012.07.11
왕원추리  (0) 2012.07.10
참나리  (0) 2012.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