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니스 텐이 민긍호의 손자라는 것이 이미 2009년 경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정작 테니스 텐 본인이 이사실을 알게된때는 2010년께 였다고 합니다
한국계 피겨스케이팅 선수 데니스 텐(25·카자흐스탄)이 괴한의 흉기 피습으로 사망했다.
19일 카자흐스탄 현지 매체인 카진포름은 데니스 텐이 오후 3시쯤
알미티 시에서 두 명의 괴한에 의해 공격을 받고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생전에 고려인으로서 "나는 언제나 한국인이었고, 앞으로도 한국인으로 살아갈 겁니다"라는 말을 남겨
한국인인 자부심을 드러낸 바 있다.
아구르탄벡 무하메디울리 문화체육부 장관은 쿠르만가지-바이세이토바 거리에서
데니스 텐이 괴한 두 명과 난투극을 벌이다 칼에 찔렸다고 전했다.
데니스 텐은 괴한에 습격된 뒤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3시간쯤 죽음과 사투를 벌인 뒤 결국 과다 출혈로 목숨을 잃었다.
데니스 텐은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프리 동메달을 거머쥔 바 있다.
데니스 텐의 메달 수상은 카자흐스탄에게 남다른 의미로 다가갔다.
카자흐스탄 최초로 피겨스케이팅 분야에서 메달을 남긴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카자흐스탄에서 데니스 텐은 국민 영웅으로 통했다.
데니스 텐은 대한제국 시절 일제에 의한 고종황제의 강제퇴위와 군대 해산에 항거해 의병을 일으킨 민긍호의 외고손자다.
의병대장으로 활약하던 민긍호는 일본군에 의해 죽음을 맞았고,
일본 스파이들의 감시를 받은 그의 가족은 당시 연해주로 거처를 옮길 수밖에 없었다.
당시 데니스 텐의 가족들이 해외 도피를 할 수 있도록 도운 것은 안중근 의사였다.
이후 민긍호의 가족은 소련의 스탈린에 의해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했다.
2017년 설날 강릉 실내빙상 경기장 에서는
2018.02.18 작성 게시물
을사늑약(乙巳勒約)은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을사조약을 말합니다
고종황제rk 을사조약이 일제의 강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폭로하고 이를 파기하고자
1907년 7월 제2회 만국평화회의(네덜란드 헤이그)에 특사(이상설은 이준, 이위종)를 파견 하자
헤이그 특사 파견을 빌미로 일제 통감부는 정미늑약(丁未勒約)을 체결하고
7월 20일 고종황제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7월 24일 대한제국의 군대를 해산시킵니다
일제가 그해 8월에 강원도의 원주수비대를 해산하려 하자 당시 원주 수비대의 장교였던 민긍호는 의병을 일으켜
강원도와 경기도 일대에서 100여 회의 전공을 세우며 활약하다가 체포된후 스스로 목숨을 끊습니다
아래 노란색 글상자의 글은 소련(소비에트 연맹, 구소련)이 붕괴 되기 1년전인
1990년도 12월 5일자 우리나라 중앙일보 기사 입니다
민족영웅 의병대장 민특무긍호공지묘(民族英雄義兵隊長閔特務公肯鎬之墓)’
강원도 원주
데니스 텐이 민긍호의 손자라는 것이 이미 2009년 경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정작 테니스 텐 본인이 이사실을 알게된때는 2010년께 였다고 합니다
2014 소치동계올림픽 피겨스케이팅 갈라쇼 2부에서는 남녀 선수 16명씩이 짝을 이뤄 페어무대를 선보였는데
김연아의 파트너는 카자흐스탄 대표로 남자 싱글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데니스 텐 이었읍니다
김연아의 현역 은퇴무대였던 '올댓스케이트 2014'( 송파구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다시 짝을 이룬 김연아와 데니스 텐
설날 이었던 16일 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에 출전한 데니스 텐은
지난해 훈련중 오른쪽 발을 심하게 다친후여서 점프와 스핀에서 큰 실수가 나오는 바람에 70.12점의 다소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할아버지의 나라에서 많은 분의 응원을 받으며 경기를 할수 있였전것 만으로도 매우 자랑스럽고 감사하다"고 말을 합니다
실제로 그는 "지난해 8월 인대를 다쳤는데 통증이 계속 남아있어 힘들었다"면서 "오늘도 오른쪽 발가락에 마비 증세가 있었다"라며
"내겐 평창올림픽이 도전의 무대였기에 스케이트팅 연습이 힘들거라던 의료진의 예상보다빠르게 회복해 무대에 설 수 있었다"고 말을 합니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남자 스켈레톤 종목에서 우리나라 선수들의 경기와 승전보에 온국민들의 관심이 쏠렸던 2017년의 설날에
카자흐스탄의 한국계 부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난 데니스 텐은 할아ㅓ지의 나라에서 그렇게 경기를 하고 있엇읍니다
데니스 텐은 2010년 민긍호 선생 묘를 직접 방문하기도 했고 민긍호 선생에 대한 논문도 쓴 것으로 알려져 있읍니다
김대중 (0) | 2018.08.18 |
---|---|
데니스 텐 (0) | 2018.07.20 |
너무 길어요 (0) | 2018.01.12 |
백범 김구선생과 공주 마곡사 (0) | 2018.01.01 |
최관수의 동산고와 최관수의 군산상고 (0) | 2017.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