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室에서1515

이태석 신부 본문

사람이 먼저다

이태석 신부

매루 2018. 1. 15. 23:24





故 이태석 신부


▲ 아프리카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하던 고 이태석 신부의 생전 모습./인제대 제공

★*… “나에게는 이곳이 천국입니다.”
아프리카 오지에서 매일 오전 250여명의 환자를 돌보고
낮에는 수㎞ 떨어진 마을을 찾아다니며 8년간 의료봉사를 펼친 고 이태석(48) 신부.
그는 생전에 아프리카를 천국이라고 불렀다.
부산이 고향인 이태석 신부는 지난 1987년 김해 인제대학교 의대를 졸업한 후
 촉망받는 의사였으나 사제가 되기로 결심하고
광주 가톨릭대를 거쳐 살레시오회에 입회했다.
그는 2001년 사제품을 받은 후 의료봉사를 하기 위해
아프리카 수단 톤즈마을로 향했다.

이 신부는 2008년 11월 귀국하기까지
그곳에서 한센병 등 전염병으로 고통받는 원주민들을 보살폈고
그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병원과 학교, 기숙사를 설립했다.
뼈가 앙상해 죽어 가던 아이를 살리며 아프리카에서 희망을 보았다는 이 신부는
정작 자신의 몸은 돌보지 못해 대장암 판정을 받았고,
항암치료 등 투병 생활도 보람없이 지난 1월 14일 48세의 나이로 선종했다.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

 

 

 

 




이태석 신부에게 헌정하는 학사모


2018.01.15.


15일 오후 부산 부산진구 인제대 의과대학 1층 강당에서 열린 제34회 부산 인제의대 학위수여식에 참석한
아프리카 남수단 톤즈 출신 유학생 토마스 타반 아콧(33) 씨가 강당 옆 이태석 신부 기념실을 찾아
이 신부의 동상 위에 학사모를 씌우고 있다.
이 신부의 주선으로 한국에 온 토마스 씨는 이날 인제대 의대를 졸업했다.
그는 훌륭한 외과 전문의가 돼 남수단으로 돌아가는 것이 목표다.
2018.1.15 pitbull@yna.co.kr
    

이태석 신부의 주선으로 한국에 유학 온 토마스 타반 아콧(33) 씨가 15일 꿈에 그리던 의대를 졸업했다.

토마스 씨는 이날 오후 부산 부산진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강당에서 열린

제34회 학위수여식에서 진행된 히포크라테스 선서식 및 동창회 입회식에 참여했다.

그는 "아직도 졸업이라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는다"며

"힘든 한국어를 배우고 의대 수업을 따라가는 게 정말 어려웠지만 이태석 신부님을 생각하며 공부했다"고 말했다.

이어 "저를 믿고 한국에 오게 해준 이태석 신부님에게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전문의 과정이 몹시 어렵고 힘들겠지만

이 신부님이 가신 길을 따른다는 마음으로 꼭 훌륭한 외과 전문의로 남수단에 돌아가 어려운 사람들을 치료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토마스 씨와 이 신부의 인연은 17년 전에 시작됐다.

 당시 10대 학생이었던 토마스 씨는 이 신부가 톤즈에서 미사를 봉헌할 때 신부를 돕는 복사를 맡았다.

당시 이 신부는 자신을 본보기로 삼아 의사가 돼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을 돕고 싶어 했던

톤즈 현지 학생인 토마스 씨와 존 마옌 루벤(31) 씨를 눈여겨보고 수단어린이장학회와 국내외 후원자들에게 편지를 썼다.

두 학생은 2009년 12월 국내에 입국해 2년 동안 연세대 한국어학당과 중원대학교에서

한국어 공부에 매달린 끝에 한국어 능력 시험 5급까지 취득했다.

이어 2012년 나란히 인제의대 합격 통지서를 받았다.

인제의대 3회 졸업생인 이 신부의 발자취를 따라 의사의 길을 걷게 된 것이다.

이종태 인제대 의과대학장은 "이 신부가 남수단의 두 학생을 맡기며 훌륭한 의사로 성장시켜 달라고 부탁했을 때

막중한 책임감을 느꼈지만 영광스럽게 받아들였다"며 "앞으로 이 신부의 고귀한 유업을 이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수단어린이장학회 이사장인 백광현 신부는 "처음 의대에 입학했을 때 걱정이 된 게 사실이지만 잘할 것이라고 믿었다"며

 "학위수여식에 선 모습을 보니 너무 자랑스럽다"고 환하게 웃었다.

pitbul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