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室에서1515
경상북도 의성 새봄농원 해남씨와 의성마늘 본문
저의 블로그 이웃인 해남씨 입니다
해남씨는 저와 동갑내기 이면서
지금은 이겨냈지만 저처럼 암환자 였읍니다
경상북도 의성에서 농사(새봄농원)를 짓고 있읍니다
마당
한 차례 소나기가 지나가자 푸석하던 흙마당이 촉촉하게 젖는다.
한 구석에는 늘 가릉대는 늙은 개의 웅크린 모습과 찌그러진 양재기에 불어터진 밥알,
그리고 헛간 담벼락에 바짝 붙여 매어 놓은 낡은 멍석,
장독대 위에 내려앉은 햇살과 수돗가 빈 바가지를 스치는 바람소리만 달그락거린다.
비 긋고 지나간 마당에 잡초가 파랗다.
거름 한 줌 뿌려 준 적 없고, 갈증날 때 물 한 모금 먹인 적 없어도 어쩜 이리 잘 자라는지,
내 손에 걸리기만 하면 다시는 안 볼 것처럼 사정없이 모가지를 비틀어 내팽개쳐도
녀석들은 나를 비웃기라도 하듯 비만 내리면 고개를 바짝 쳐든다.
잡초를 뽑아내고 비질을 한다.
바지랑대에 미끄러지는 한낮의 햇살이 오지다.
오똑하니 앉아 남상거리던 콩새 한 마리가 비질 소리를 듣고 포르르 마당으로 내려 앉는다.
아이들에게 군음식을 나누어 주듯 콩 한 줌을 뿌려주니 뒷다리로 흙을 콩콩 차며 좋아라 모이를 줍는다.
빨래를 내다 널어놓고 젖은 멍석을 말린다.
곰팡내가 난다. 긴 시간 희로애락을 함께 했던 곰삭은 이 냄새가 왜 그런지 싫지 않다.
오래 전에는 마당에다가 초례청을 마련하였을 것이다.
자식들 모두 키워 혼인을 시키고, 늙어서는 친척들 모두 불러 환갑 잔치도 벌이고,
그런 날은 뒤란에 솥을 걸어 돼지머리를 삶고 떡국도 끓였으리라.
가끔은 서러운 귀신들도 불러들여 한판 굿마당도 벌렸으리라.
징이며 꽹과리를 한참동안 부서지고 자지러지고 나면 마당은 평온해졌을 테지.
멍석에 앉아서 묵은 이야기를 들춰본다.
그때 여름에는 밤마다 멍석을 폈다. 들에 갔던 식구들이 모두 모이면 나는 멍석에다 밥상을 차렸다.
밤이 이슥해질 때까지 도란거리던 아이들은 내 무릎을 베고 잠이 들고,
모깃불이 사그라지고 감자가 익을 무렵, 하늘을 쳐다 보았다.
한없이 넓고 깊고 아늑한 하늘은 내게 위안이었다.
두 아이의 유일한 놀이터는 마당이었다.
풀 뜯어 소꿉놀이하고 빗금 그어놓고 밤톨만한 돌멩이를 주워 공기놀이도 하고,
바지랑대에 고무줄을 매놓고 팔랑팔랑 줄넘기를 할 때면, 햇볕도 덩달아 좋아라 까불거리며 동그라미를 만들었다.
이제 마당에는 아이들이 발소리만 남았다.
고요한 마당에 내려서면 나는 가끔 쓸쓸하다.
그러나 햇살과 바람, 잔돌멩이, 풀, 콩콩거리던 발소리가 있어서 그다지 외롭지는 않다.
산골 마을의 아침은 언제나 비질 소리로 시작되었다.
마당은 언제나 정갈하였다. 시멘트를 발라 놓은 듯 매끈하게 다듬어야 했다.
빗물에 흙이 패이면 아버님은 먼 산에 가셔서 황토를 져다 날랐다.
발로 밟아 가며 다지다가 성에 안 차면 손바닥으로 자근자근 눌러 다졌다.
도리깨질하는 남정네의 어깨는 절로 신명이 났고, 키질하는 아낙네의 수고로움도 덜어 주었다.
시아버님의 비질소리는 자명종 소리보다 더 정확했다.
새벽잠 많은 며느리는 이불을 뒤집어쓰고 귀를 막아도 소용없었다.
비질소리에 일어나 잠을 털고 가마솥에 쌀을 안쳤다.
이제 나도 나이를 먹어 가는 걸까. 도시의 아파트촌에서 하룻밤 묵어 오는 날이면 듣기 싫던 비질소리가 그리워지니.
마당을 쓸 때에도 아버님은 언제나 바깥에서 안으로 쓸어모았다.
"집안에 든 복을 바깥으로 쓸어내서는 안된다." "마당에 떨어진 보잘 것 없는 것들이라도 함부로 내몰지 말아라."하시던 아버님.
잔 부스러기들도 내 몸에서 떨어져 나간 생의 일부분이라고 여기선 시아버지의 소박한 마음이 이제 내 마음에 닿아
나는 비질을 할 때마다 바깥에서 안마당으로 쓸어들인다.
하지만 마당은 따뜻하고 미학적인 추억만을 들춰내지는 않는다.
새댁 시절 친정어머니가 딸 사는 것 보려고 연락도 없이 마당을 가로질러 오시던 날,
저고리 소매 끝에 그을음을 조롱조롱 달고 눈물 그렁하게 어머니를 맞이했지만,
어머니는 그런 딸이 애틋하여 마루에 걸터앉지도 않고 마당에 망연히 서 계시던 모습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흙마당에 시멘트라도 좀 바르고 살지.' 애꿎은 흙마당 탓을 하다 가신 이후,
어머니가 발바닥으로 지그시 눌렀다가 돌아 나간 마당에 서면 나는 요즈음도 발뒤꿈치가 아프다.
마당에는 이제 타작하는 풍경도 키질소리도 사라진 지 오래다.
말 상대자가 없는 나는 심심하면 구석에 웅크린 늙은 개에게 다가가 말을 걸어보기도 하고, 볕 좋은 날에는 멍석을 말린다.
콩 한 줌으로 콩새를 불러들여 이야기도 줍고, 마당에서 자라는 하찮은 풀 한 포기도 이제 나의 다정한 벗이다.
포실한 흙의 촉감이 발바닥에서부터 머리끝까지 전해져 마치 한몸이 된 것처럼 일치감이 느껴진다.
고인 물처럼 일상은 무료하고 풍경은 늘 막막한, 그래서 사소한 것이 되어 버리는 굼뜬 시골살이지만,
그래도 내게 위안이 되는 것은 사라져 가는 것들이 발산하는 한없이 넓고 부드러운 세월의 향기다.
앞서 마당을 건너간 삶의 얼룩, 혹은 무늬 중의 하나인 나, 또한 하나의 배경으로 이 마당을 건너갈 테니까.
(에세이 문학 2004년 여름호에서)
김해남 ; 경북 의성군 단촌면 상화2리 533
한국토종 의성마늘, 김장철 인기
중국산 뿌리마늘, 일명 ‘쓰레기마늘’이 채널A `먹거리 X파일`을 통해 보도된 후 국산 토종마늘인 의성마늘이 재조명되고 있다.
겨울이 따뜻한 남부지역보다 비교적 추운 중부지방에 적응된 마늘 품종을 한지마늘(의성마늘)이라 한다.
특히 의성은 일교차가 커 마늘이 자라면서 양분의 소모가 적기 때문에 영양성분이 풍부한 마늘이 자라기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이렇게 자란 의성마늘은 구가 단단하고 즙이 풍부해 다른 마늘에 비해 적은 양을 사용해도 감칠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쓰레기마늘을 피하고 의성마늘을 육안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통마늘을 구입하는 것이 가장 좋다.
6월 중순부터 수확하기 때문에 출하 시기는 7월 이후가 된다.
쪽수는 6~8쪽으로 종대와 마늘쪽의 끝부분이 붙어있고 속껍질은 담갈색을 띄고 있다.
관계자는 “쓰레기마늘에 대한 경각심이 우리 것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며 김장철을 맞아 의성마늘에 대한 문의가 크게 늘었다”면서
“육안 구분이 어렵다면 토종마늘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의성농협처럼 믿을 만한 판매처에서 구입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의성마늘이 다른 마늘에 비해 덜 물러지는 것은 사실이나
마늘이 본래 습기에 취약하므로 건조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한국경제 TV 2016-11-18 14:06
아내가 무척 좋아 합니다
경상북도 의성 새봄농원의 해남씨가 김장때 쓰라고 마늘을 보내왔읍니다
의성마늘 종다리 뽑기 체험행사!!
경상북도 의성군에서는 전국최고의 명품인 의성마늘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도시 소비자들에게 농촌의 생산지 현장체험을 통해 우리농산품에 무한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의성마늘 종다리 뽑기 행사”를 개최한다.
마늘주산단지인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새들에서 개최되며 전국 각지에서 1,000여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행사참여를 통해 의성마늘의 재배과정을 소비자들이 직접 볼 수 있는 기회와, 자기가 뽑은 마늘 종다리를 직접 가져갈 수도 있어 도시민들에게는 일석이조의 인기를 얻고 있다. 대자연의 숨결을 느껴 볼 수 있는 즐거움을 제공하고, 체험행사에 참여하는 도시민에게 오염되지 않은 청정 의성의 환경을 새롭게 각인시켜 전국최고의 명품인 한지형 의성마늘의 이미지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4천톤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확은 6월 중순부터 시작된다. ⓒ GBN 경북방송 (2011년 05월 19일(목) 10:13)
| |||||
Sam Cooke의 노래 Teenage Sonata 는 해남씨가 좋아하는 노래 입니다
'블로그 이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군바우님의 style (0) | 2017.04.21 |
---|---|
옥수수 씨앗 (0) | 2017.02.25 |
빈칼자객님의 노약자論과 지공선사 (0) | 2016.11.19 |
대관령 장군바우님의 측은지심 (0) | 2016.07.17 |
경상북도 의성 새봄농원 해남씨 (0) | 2016.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