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室에서1515
부활한 수인선 시승 본문
지난 3월 1일날 저는 아내의 심부름차 인천(용현동)에 나갈 일이 생겼읍니다
얼마전 까지는 영흥섬에서 790번버스를 타고 인천에 접어들면
소래~만수동~석바위~주안~제물포~숭의동~용현동에 다다랐었는데
새수인선의 송도~인천구간이 개통이 됨으로써
오이도역에서 버스를 내려 인천행 수인선에 오르면 약 30분 이상의 시간이 단축이 되고
옛수인선에 대한 추억이 많은 인천토박이인 저 이기에
반갑고 즐거운 마음으로 새 수인선 열차에 올랐읍니다
한시간 간격으로 출발을 하는 인천~영흥도를 운행하는 버스 입니다
이버스의 종점은 인천쪽에서는 용현동의 옹진군청 앞이고 영흥도쪽 에서는 진두농협앞 버스터미널 입니다
말이 터미널이지 이곳에는 790번버스와 영흥섬의 마을버스 두개노선뿐 입니다
올해초에 영흥섬 터미널 앞에 신작로가 생겼읍니다
신작로와 일직선으로 보이는 산 너머 바닷가에 하수오농장이 있읍니다
오이도역앞에서 버스를 내려 인천행 전철로 갈아 탑니다
1964년 사진 입니다
사진 아래 바둑판 모양이 낙섬 염전이고
염전 오른쪽위에 염전에 필요한 바닷물을 가두는 저수지가 있읍니다
저수지 오른쪽에 보이는 뚝 오른쪽으로 낙섬이 있는데 사진에는 보이질 않습니다
그 뚝 오른쪽의 갯벌은 동양화학앞 바다 입니다
용현초등학교의 운동장이 사진 가운데에 ㄱ자모양으로 나타나 있읍니다
새로 만들어진 수인선의 숭의역은 사진 왼쪽 아래 구석부분 입니다
2008년 사진 입니다
위에 있는 사진을 시계바늘 반대방향으로 90도 틀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진 오른쪽 아래 구석부분에 지금의 새로 생긴 수인선의 숭의역이 있읍니다
윗사진 아랫쪽에 있는 염전 뚝방길이 이사진의 오른쪽 대로 입니다
사진 정가운데에 옛수인선 철로 흔적이 니타나 있는데
사진 윗부분에 흙이 보이는 공터가 옛 석유공사(SK정유) 자리이고
그곳에 옛수인선의 용현역이 있었읍니다
석유공사 공터의 오른쪽 아래에 용현초등학교 운동장이 보입니다
저는 숭의역에서 내렸읍니다
옛수인선의 출발지였던 남인천역에서 약 500여m 떨어진곳으로
위의 196년 사진에서 정확하게 맨왼쪽 아랫지점 입니다
역사안에 수인선의 부활을 알리는 포스터가 있읍니다
한국전쟁후 황해도출신의 실향민들이 모여살던 인천 끄트머리 바닷가의 염전 자리에
지하철 역사가 생겼고 1번출구를 안내하는 간판에는 제가 다녔던 용현초등학교 이름이 씌여 있읍니다
위의 2008년 사진을 보면 사진 오른쪽에 사거리가 있고 그사거리 왼쪽에 육교가 나타나 있읍니다
이사진은 그 육교위에서 촬영을 한것 입니다
제가 중학교 1학년때인 1967년 3월 24일 착공하여 1968년 12월 21일에 완공된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도로인
경인고속도로의 인천쪽 종점위로 새로생긴 육교위에서 서울방향을 바라 봅니다
사진 오른쪽에 뾰족한 종탑이 보이는 성당옆에 제가 다녔던 용현초등학교가 있읍니다
같은 자리에서 반대방향인 인천항쪽을 바라다 보았읍니다
인천항출입문이 보이고 크레인들이 하늘을 찌를듯이 서있읍니다
1962년 사진 입니다
우선 왼쪽 위에 아암도가 보이고 .. 그 아래로 송도유원지 일부가 보이고..
그 아래 석산으로 가는 능선 위에 작은 점의 모습으로 능허대가 보이고 있습니다.
석산 능선 아래의 산자락..기름탱크들이 있는..은 노적봉의 산록이 되겠습니다.
그 노적봉 서쪽 끝이 조개고개인데, 수인선과 송도가는 차로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밝은 선이 도로이고 어둡고 좁은 선이 수인선입니다.
맨 아래 도로가 인하대 앞 도로인데..
자세히 보시면 중간 부위에 인하대 옛날 정문이 보입니다.
사진 오른쪽 아래 구석이 옛수인선이나 지금 새로 신설된 수인선의 용현역(인하대역)자리 입니다
사진 오른쪽 중간지점이 인하대역 입니다
옛수인선의 용현역이 있던 자리여서 제 개인적 으로는 용현역으로 불리웠으면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새로 짓고있는 고층 아파트 단지는 옛날에 대한석유공사(훗날 SK정유) 자리 입니다
아랫사진 의 빨간버스 뒤에 용현역의 출입구가 살짝 보입니다
대한민국 역사와 서민의 애환을 싣고 달려온 ‘수인선’ 이 43년 만에 재개통됐다.
인천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지난 27일 수인선 2단계 연장 구간(송도~인천 7.3㎞)을 포함한 인천 전 구간을 전면 재개통했다.
이번에 개통된 2단계 연장구간 역은 인천역, 신포역, 숭의역, 인하대역 등 4개 역이다.
2단계 연장구간 개통으로 1단계 구간인 오이도∼송도 구간(13.1㎞)을 포함한 오이도~인천역 간 20.4㎞ 구간이 운행된다.
수인선은 지난 1937년에 처음 개통돼 1973년 남인천역, 용현역이 폐쇄된 후 1995년에 운행이 완전히 중단됐다.
중단 후 17년 만인 2012년 송도~오이도 구간의 일부 개통을 거쳐 이번에 재개통됐다.

인천-시흥-안산-화성-수원을 연결하는 총 연장 52㎞의 협궤선(레일간격이 일반 선로의 절반인 762㎜)인 수인선이
![]() |
1.인천시 연수구 송도역 지하 철로(오른쪽). 왼쪽 사진은 1993년 지상에 있던 수인선 철로 모습이다. 수인선 인천구간은 1973년 남인천∼송도 구간 폐쇄 후 43년 만에 지하로 바뀌어 27일 개통했다. 2. 새로 개통된 수인선 전동차에 탑승한 승객들(오른쪽). 왼쪽 사진은 1993년 수인선 협궤열차에 몸을 실은 이용객들 모습이다. 3. 수인선 복선전철 전동차량(오른쪽)이 송도역에 정차하고 있다. 왼쪽 사진은 1989년 수인선 인천구간을 달리는 협궤열차 모습. 4. 본격적인 운행에 나선 수인선 전동차량 기관실(오른쪽). 왼쪽 사진은 1993년 수인선 협궤열차 운전석 내부 모습이다. 연합뉴스 |
게시물중에 흑백사진들과 일부설명내용은
네이버블로그<인천의 어제와 오늘>에서 빌려왔읍니다
블로그 주인이신 원장님께 양해를 구합니다
|



'日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만(小滿)과 부지깽이 나물 (0) | 2016.05.20 |
---|---|
Bye bye love : Everly brothers, Simon & garfunkel (0) | 2016.03.07 |
영화 귀향과 시간을 달리는 소녀 (0) | 2016.03.03 |
흰눈속의 하수오농장 (0) | 2016.02.29 |
새해 겨울햇살 (0) | 2016.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