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室에서1515
켈트족과 켈트족 기도문 본문
당신의 손에 언제나
할 일이 있기를
당신의 지갑에 언제나 한두 개의
동전이 남아 있기를
당신 발 앞에 언제나
길이 나타나기를
바람은 언제나 당신의
등 뒤에서 불고 당신의 얼굴에는
해가 비치기를
이따금 당신의 길에
비가 내리더라도
곧 무지개가 뜨기를
불행에서는 가난하고
축복에서는 부자가 되기를
적을 만드는 데는 느리고
친구를 만드는 데는 빠르기를
이웃은 당신을 존중하고 불행은
당신을 아는 체도 하지 않기를
당신이 죽은 것은 악마가
알기 30분 전에 이미
당신이 천국에 가 있기를
앞으로 겪을 가장 슬픈 날이
지금까지 가장 행복한 날보다
더 나은 날이기를
그리고 신이 늘 당신 곁에 있기를.
- 켈트족 기도문
현재까지 남은 켈트족의 나라는 아일랜드가 유일하다.
아일랜드어(겔러, 혹은 게일어 Gaeilge)는 유럽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켈트어군의 상용 언어지만
아일랜드를 400년간 지배한 영국에 의해 영어가 깊숙히 퍼진 데다가 영어의 힘에 압도되어
현재 아일랜드 인구의 대부분은 영어를 상어로 쓰고 있다.
아일랜드 정부가 겔러를 퍼트리기 위해 엄청나게 노력했지만 상용자는 줄고 있으며
모어로 쓰는 사람은 7만 명 정도이고 이것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
머지않아 모어로 쓰는 사람이 소멸되면 사실상 사어가 되는 셈이다.
하지만 문화적으로 완전하게 동화된 것은 아니어서
켈트족의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웨일즈, 북프랑스의 브르타뉴지방 등이 영국과 프랑스에 편입된 것은 겨우 근대 이후의 일이며
지금도 그들의 민족적 문화적 자부심이 대단하다.
(같은 영국 국가안에 있지만 잉글랜드가 프랑스하고 축구시합을 하면
스코틀랜드 사람들은 프랑스를 응원한다는 말이 그냥 나온게 아니다.)
셀틱 FC (Celtic Football Club) 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 기반한 축구 클럽이다.
1887년에 창단한 축구 클럽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클럽 중 하나이다.
셀틱(Celtic)이라는 이름은 클럽의 기반이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 기반한다는 사실에 창안하여 월프리드가 지은 것이다.
스코틀랜드 프로축구 1부리그를 총 48회, 스코티시 컵 37회, 스코틀랜드 리그컵 16회를 우승한 명문 클럽으로
1967년에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를 상대로 2-1로 승리하여 유러피언 컵을 차지했는데,
이것은 북유럽 클럽이 처음으로 유러피언 컵을 차지한 기록이며 유럽 최초의 트레블을 기록한 것이기도 하다.
이 때의 셀틱을 가리켜 리스본의 사자란 별명을 붙였다.
영어로 발음하면 셀틱으로도, 켈틱으로도 모두 발음하며, NBA 농구팀 보스턴 셀틱스도 여기서 딴 이름이다.
보스턴 셀틱스(Boston Celtics)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을 연고지로 하는
NBA 동부 콘퍼런스 애틀랜틱 디비전에 소속된 프로농구팀이다.
아일랜드 문화가 강한 도시인 이유로 '셀틱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NBA 역사상 최다우승인 17회, 그리고 결승에 유독 강한 승률을 보여주는 최고 명문팀이다
켈트족들은 겨울이 시작되는 11월 1일을 새해 첫날로 보는데요.
그들은 사람이 죽어도 영혼은 1년 동안 다른 사람의 몸속에 있다가 내세로 간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한 해의 마지막인 10월 31일,
죽은 자들의 영혼이 자신의 몸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귀신 복장을 하고 집안을 차갑게 했던 것입니다.
이후 로마가 켈트족을 정복한 뒤, 교황 보니파체 4세가 11월 1일을 ‘모든 성인의 날(All Hallow Day)’로 정하면서
그 전날이 ‘모든 성인들의 날 전야(All Hallows’Eve)’가 됐고,
이 말이 훗날 ‘할로윈(Halloween)’으로 바뀌어 오늘날에 이르게 됐습니다.
예전에는 원래 켈트족의 풍습을 지닌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이민자들만
치르는 소규모 축제였는데도 1840년의 아일랜드 대기근으로 인해
많은 아일랜드 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며서 할로윈데이가 퍼져나가기 시작했고
지금은 미국을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즐기는 행사가 되었답니다.
'사람이 먼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양예고 출신 서미경 (0) | 2018.01.12 |
---|---|
안양예고 출신 김성아 (0) | 2018.01.12 |
남북통일 (0) | 2018.01.04 |
한홍구 교수가 말하는 '한국의 보수, 내일은 있는가' (0) | 2017.12.25 |
12월 12일과 군바리들 (0) | 2017.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