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室에서1515
아름다운 사람 : 현경과 영애 본문
[헤럴드경제=이슈섹션] “울지 마세요. 끝나고 아버지 묘소에 같이 갑시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추모사를 하다 눈물을 흘린 김소형씨를 위로하며 전한 말이 화제다.
문 대통령은 김씨의 추모사를 듣다가 눈물이 터졌고, 예정에 없이 무대로 나와 김씨를 껴안았다.
잠시 후 대통령은 김씨에게 뭔가 짧게 이야기를 나눴고 두 사람은 다시 무대 아래로 내려왔다.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5.18 유족인 김소형씨를 위로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돌발 상황에 카메라가 집중됐다.
시청자들은 대통령이 슬픔 속에 떨며 추모사를 읽던 김씨를 위로한 것으로 기억했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 대통령이 한 일은 위로 이상이었다.
문 대통령은 김씨에게 “울지 마세요. 기념식 끝나고 아버지 묘소에 참배하러 같이 갑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실제로 기념식이 끝나고 김씨와 함께 김씨의 아버지 묘소에 같이 가서 참배했다.
김씨는 무대 위에서 문 대통령의 말에 겨우 눈물을 참아냈다고 전했다.
또 아버지 묘소를 함께 참배하자던 약속을 지켜준 대통령에게 거듭 감사의 말을 남겼다.
1980년 5월 18일 태어난 김소형씨는 자신의 나이와 5.18 기념주기가 같다.
전남 완도에서 살다 자신의 출산 때문에 큰 병원을 찾아 광주로 왔던 김씨 가족은
출산 당일 계엄군의 총탄에 김씨 아버지 김재평씨가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이날 행사에서 추모사를 읽던 딸 김소형씨는 “만약 제가 그때 태어나지 않았으면 아빠도 살아계시지 않았을까 생각할 때도 있다”며 울었다.
김씨를 지켜보던 문 대통령은 결국 손수건을 꺼내 들었고,
예정에는 없었지만 김씨를 위로하기 위해 무대 위로 걸어나가 김씨와 포옹했다.
김씨는 대통령의 품에 안겨 눈물을 쏟았다. 그는 “아빠가 안아준 것처럼 어깨가 넓게 느껴졌다”며
“어깨에 기대 목 녹아 울고 싶었다”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김민기:작사 / 김민기:작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