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室에서1515

초대형 태풍 볼라벤 본문

韓半島

초대형 태풍 볼라벤

매루 2012. 8. 26. 08:43

 

 

 

<태풍 '볼라벤' 위력은…시속 180㎞ 강풍>

2006년 태풍 `루사'의 영향으로 강한 바람이 불어 전북 군산시내 곳곳의 가로등이 쓰러지고 간판이 떨어진 모습.(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올해 들어 가장 크고 강력한 태풍인 '볼라벤(BOLAVEN)'이 우리나라에 점차 다가오면서

이 태풍의 위력에 관심이 모인다.
'볼라벤'은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줬던 태풍 '루사(RUSA)'나 '매미(MAEMI)'와 맞먹는 강한 바람과 함께

시간당 30㎜ 이상의 폭우를 몰고 올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최대풍속 초속 50m…'루사'ㆍ'매미'와 위력 비슷 = 26일 기상청 국가태풍센터에 따르면

'볼라벤'은 전날 오후 3시 현재 중심기압 930헥토파스칼(hPa)에 최대풍속 초속 50m로 강도 면에서 '매우 강'한 위력을 지니고 있다.

태풍의 강도는 중심부의 최대풍속으로 분류하는데

초속 44m 이상은 '매우 강',

33∼44m는 '강', 25∼33m는 '중',

17∼25m이면 '약'으로 나눈다.

초속 15m의 바람이 불면 건물에 붙어 있는 간판이 떨어질 수 있고 초속 25m에는 지붕이나 기왓장이 뜯겨 날아간다.
최대풍속이 30m면 허술한 집이 무너지고 35m일 땐 기차가 엎어질 수 있다.

초속 40m의 강풍은 사람은 물론 커다란 바위까지 날려버릴 수 있는 위력이다.
초속 50m를 시속으로 환산하면 180㎞다.

태풍의 중심부에 서 있으면 시속 180㎞로 달리는 자동차의 창문밖으로  얼굴을 내밀 때와 같은 세기의 바람을 맞는 것과 마찬가지다.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힌 태풍인 2002년 '루사'의 경우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초속 33m의 강한 세력을 유지하며 전남에 상륙했다.

이듬해 찾아온 태풍 '매미' 역시 상륙 당시 중심기압 954hPa, 최대풍속 초속 40m의 '강한' 태풍 상태였다.

태풍의 중심과 가까운 곳에서는 순간적으로 이보다 훨씬 센 바람이 분다.

 2003년 태풍 '매미'가 찾아왔을 때 제주에서 초속 60m의 순간 최대풍속이 관측된 바 있다.


 

<그래픽> 태풍 '볼라벤' 진로 예상도
(서울=연합뉴스) 장성구 기자 = 25일 오전 4시 현재. 제15호 태풍 '볼라벤' 진로 예상도. 
 
'볼라벤'의 이동경로는 아직 특이한 조짐이 없다. '덴빈' 역시 중심기압 975hPa의 강한 태풍이지만
'볼라벤'이 워낙 강력하다보니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약해져도 초속 40m 이상 강풍 불듯 = 현재 최대풍속만 놓고 보면 '볼라벤'이 '루사'나 '매미'보다 훨씬 강력하지만
우리나라에 근접해서는 이들과 비슷한 수준의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남해안에 상륙해 우리나라를 관통한 '루사'나 '매미'와 달리 '볼라벤'은 서해상에서 북상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서해에 진입하면서 강도도 다소 약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은 '볼라벤'이 이날 오후 중심기압 920hPa, 최대풍속 초속 53m로 일생에서 가장 강력하게 성장한 뒤
차츰 약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볼라벤'이 서해안에 바짝 붙어 북상할 경우 우리나라 전역에 가공할 위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볼라벤'은 27일 밤 서귀포 서쪽 해상을 스쳐 28일 오후 서울 서남서쪽 180㎞ 해상에 진입할 때까지
최대풍속 초속 40∼50m의 강풍을 일으킬 전망이다.
크기도 다소 작아지겠지만 우리나라를 완전히 빠지나갈 때까지 강풍반경 400㎞ 안팎의 '중형' 규모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서해안에 태풍 중심부의 최대풍속인 초속 41∼48m와 맞먹는 강한 바람이 분다.
동해안까지 우리나라 전역이 초속 15m를 넘는 강풍의 영향권에 놓인다.
태풍에서 바람이 가장 강한 곳은 중심으로부터 40∼100㎞ 떨어진 지점으로 학계에 보고돼 있다.
'볼라벤'은 서해에 진입해 세력이 약해지더라도 여전히 '중급'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여
북한 지역에도 상당한 피해를 입힐 것으로 예상된다.

김태룡 국가태풍센터장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다소 수축하면서 당초 예상보다 한반도쪽으로 가깝게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며
"서해에 진입한 뒤 이동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이 있고 서해를 통과해 북한 황해도 지역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tel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韓半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 장학회 ( 上 )  (0) 2012.10.27
감리교 ‘교회세습’ 안한다  (0) 2012.09.29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권  (0) 2012.07.26
747 공약  (0) 2012.07.25
초복(初伏)날 풍경  (0) 2012.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