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室에서1515
대형바지선이 뜬 하수오농장앞 바다 본문
갯벌의 사전적 의미는 ‘고조시에는 잠기고 저조시에는 드러나는 연안의 평탄한 지역’ 을 말한다.
즉 갯벌이란 조류로 운반되어 온 미세한 흙들이 파도가 잔잔한 해안에 오랫동안 쌓여 생기는 평탄한 지형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갯벌은 주로 조류에해 운반되는 퇴적물이 쌓여 이루어지는 해안 퇴적 지형이다.
어느 해안에서 하루 중 해수면이 높아졌을 때를 고조(만조), 낮아졌을 때를 저조(간조)라 하며,
고조와 저조때의 해수면의 높이의 차이를 조차(조석차)라고 한다.
그리고 조석에 의하여 변하는 해수면의 높이를 조위라고 한다.
조석은 달과 태양의 인력에 의해 해수면이 주기적으로 올라왔다 내려갔다는 것을 말하며,
바닷물이 해안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밀물, 물이 다시 바다로 빠져나가는 것을 썰물이라 한다.
조류에 의해 운반되는 물질은 미세하기 때문에 일 반적으로 파도가 약한 평탄한 해안에 퇴적된다.
파도 에너지에 비해 조류의 에너지가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펄갯벌은 조차가 크고 만이나 섬으로 가로막힌 해안에서 잘 발달한다.
작은 퇴적물 입자들인 펄알갱이는 조류의 흐름이나 물의 운동이 작은 곳에서 잘 가라앉기 때문에
펄갯벌은 육지 쪽으로 깊이 들어간만 깊숙한 곳에 형성되고,
우리나라의 태안반도나 변산해수욕장 같이 바다로 열려있어 조류보다 파도의 작용이 우세한 곳에서는
모래갯벌이 발달하며 갯벌의 폭도 좁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파도에너지의 세기와 조석의 상대적 영향정도와 갯벌을 구성하는 퇴적물의 입자 크기로 갯벌의 유형이 다르게 된다.
갯벌은 암반지역, 펄 갯벌과 모래 갯벌, 펄과 모래가 섞인 혼성갯벌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펄(니, 점토) 갯벌은 모래의 비율이 낮고(대개 20~30%이내) 펄의 성분이 많은(70~80%) 갯벌을 말하고,
모래갯벌은 모래가 대부분인(대개 70%이상) 갯벌을 말한다.
혼성갯벌은 모래와 펄이 비슷하게 섞여있는 (모래가 40~70%) 갯벌이다.
하수오농장앞 내리 갯벌
제가 영흥도에 본격적으로 드나들기 시작했던 2000년대 초반만해도 이곳 하수오농장앞 갯벌을 비롯하여
영흥섬의 모든 갯벌들은 조그마한 돌멩이 하나 보이지않았던 펄이 펼쳐져있던 아름다운 갯벌 이었읍니다
영흥도에 있는 몇개의 어촌계들 중에서 저희 하수오농장앞의 갯벌은 내리 어촌계에서 관리하고 있읍니다
내리 어촌계는 이곳에서 바지락채취로 연간 10여억원 이상의 수익(2011년도 기준)을 올려 왔지만
근래에 들어 해마다 생산량이 급감(전년대비 30~50% 감소)하는 실정 입니다
이같은 영흥도 갯벌 에서의 바지락 생산급감에 대하여 주민들이 꼽는 몇가지 이유들 중에는
영흥화력발전소 건립 후부터 달라진 바닷물의 온도(수온상승) 와
영흥도와 인근의 각종 대형토목공사(시화방조제,화력발전소,인천대교등)가 있으며
바닷모래 채취로 인하여 바닷물의 유속이 빨라지면서 갯벌이 듬성듬성 파이기 시작을 하였읍니다
지난 월요일(7월 14일) 하수오농장앞 바다의 길마섬 주변에 모래를 실은 대형 바지선 두척이 나타났읍니다
포크레인들이 모래를 바다에 퍼 붓습니다
이틀동안 모래를 붓고난후 바닷물이 빠져나간 설물때 같은장소의 갯벌 모습 입니다
모래를 붓기전의 갯벌(아랫사진)과 달라진 모습 입니다
바지락, 중국산 말고 들어올 데 없나 | ||||||
국산 바지락 생산량 두배 4만톤 수입 "바지락 특성상 가까운 중국에 전량 의존" | ||||||
| ||||||
| ||||||
지난 2011년 4만2296톤이 수입되며 처음으로 국내 생산량(3만7929톤)을 앞지른 바지락 수입은 2012년 4만4396톤(국내 생산량 2만5028톤), 2013년 3만8720톤(국내 생산량 1만8145톤)을 기록해 국내 생산량 보다 두 배 가량 많았다. 특히 이 기간 동안 중국산 바지락은 △2011년 4만2150톤 △2012년 4만4006톤 △2013년 3만8715톤이 수입돼 99% 이상 비중을 차지했다. 바지락 수입업체 관계자는 “살아 있는 상태로 수입해야 하는 바지락의 특성상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에 전량을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라고 밝혔다. 한편, 수과원은 올해 바지락 생산량이 수온 상승과 폐사율 하락으로 인해 지난해 보다 1만2000톤 늘어난 3만 톤 가량 생산될 것으로 예측했다.
|
'영흥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수오농장의 여름손님들 (0) | 2014.08.04 |
---|---|
하수오농장앞 숭어떼 (0) | 2014.07.23 |
영흥섬 십리포 노을 (0) | 2014.07.10 |
7월의 첫주말 (0) | 2014.07.07 |
신록(新綠)의 영흥도 임도(林道) (0) | 2014.05.02 |